수출기업위기 2

📉 최상목은 되는데 이재명은 왜 안 돼? 무너진 협상 라인의 대가

📌 [트럼프 관세 시리즈 ⑤편]2025년 8월 1일, 한국산 전 제품에 대한 25% 상호관세 부과가 예고된 가운데, 이 사태를 풀 수 있었던 결정적 기회를 우리는 스스로 날려버렸는지도 모릅니다.그 중심엔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존재가 있습니다.그는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하에서 미국과의 협상을 총괄하며 "패키지 합의"라는 해법에 도달한 인물이었습니다.하지만 그가 민주당의 탄핵 강행 직전 자진사퇴하면서, 한국의 협상라인은 급격히 붕괴됐고, 이재명 정부는 협상력과 외교 신뢰를 모두 잃었습니다.이번 편에서는 트럼프의 관세 압박이 본격화되기 직전까지 진행된 협상 과정, 그리고 이재명 정부 출범 후 통상/외교라인 붕괴가 어떤 파장을 불렀는지를 분석합니다.⏳ 최상목은 있었다 - 미국이 대화하던 ..

오늘의 주제 2025.07.08

🚗 한국 車·조선업 직격탄… 트럼프 관세가 산업별로 미치는 영향은?

📌 [트럼프 관세 시리즈 ④편]2025년 8월 1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폭탄이 예정대로 발효될 경우, 한국 경제에서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산업은 단연 자동차 · 조선 · 철강 · 반도체입니다.이전 편에서 확인했듯이, 미국 시장에 대한 수출 비중이 큰 산업일수록, 25% 상호관세는 사실상 '진입장벽'으로 작용합니다.이번 편에서는 산업별로 어떤 제품이, 어떤 기업이, 얼마나 타격을 받을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 자동차 산업 : 현대차 기아, 미국 생산 안 하면 '직격탄'한국산 승용차는 2025년 현재, 연간 약 85만 대가 미국으로 수출됩니다.이 중 현대,기아의 국내 생산 차량 비중이 60% 이상을 차지합니다. 트럼프는 백악관 서한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미국 내에서 생산..

오늘의 주제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