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車·조선업 직격탄… 트럼프 관세가 산업별로 미치는 영향은?
📌 [트럼프 관세 시리즈 ④편]
2025년 8월 1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폭탄이 예정대로 발효될 경우, 한국 경제에서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산업은 단연 자동차 · 조선 · 철강 · 반도체입니다.
이전 편에서 확인했듯이, 미국 시장에 대한 수출 비중이 큰 산업일수록, 25% 상호관세는 사실상 '진입장벽'으로 작용합니다.
이번 편에서는 산업별로 어떤 제품이, 어떤 기업이, 얼마나 타격을 받을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 자동차 산업 : 현대차 기아, 미국 생산 안 하면 '직격탄'
한국산 승용차는 2025년 현재, 연간 약 85만 대가 미국으로 수출됩니다.
이 중 현대,기아의 국내 생산 차량 비중이 60% 이상을 차지합니다. 트럼프는 백악관 서한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미국 내에서 생산하면 관세 없다. 우리는 그 과정을 신속히 승인해 주겠다."
즉, 한국 내 생산 후 미국 수출하는 구조는 직접적인 타깃입니다. 현재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앨라배마, 조지아주에 공장을 운영 중이나, 국내 공장 비중이 높은 모델군 (소나타, K5, 코나 등)은 고스란히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 우려 포인트
미국 소비자 가격 상승 → 판매 감소
일본, 멕시코 등 타국산과 가격 경쟁력 약화
현지 생산 전환 압박 가중
⚙️ 자동차 부품 산업 : 협력사 연쇄 타격
관세 대상은 완성차뿐만 아니라 모든 '한국산 제품'입니다.
따라서 현대모비스, 만도, 한온시스템 등 부품 1차 벤더 기업들도 25% 관세 대상입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 현대차 전용 플랫폼 부품 등 기술 집약형 제품도 예외 없이 포함되어,
부품 수출 감소 → 국내 생산 축소 → 고용 타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 조선 산업 : 미국 수주 확대 전략 '빨간불'
최근 2년간 한국 조선업계는 미국의 해양에너지 수요 증가에 힘입어 LNG선, 해양플랜트 계약을 확대해 왔습니다.
하지만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조선 분야에도 '암초'가 될 수 있습니다.
"미국의 핵심 산업은 자국 내 공급망으로 전환해야 한다."
는 트럼프의 주장에 따르면, 조선 기자재/부품, 해양플랜트 설비 공급 등 고부가 수출라인이 직접적인 타깃이 될 수 있습니다.
📌 주의 대상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삼성의 미국 수주 프로젝트
선박용 디지털 제어장치, 특수 강재 등 기자재 수출
조선 기자재 협력사 (HSD엔진, 현대일렉트릭 등)
🔩 철강 산업 : 트럼프표 압박, 다시 시작된다
철강은 트럼프가 1기 집권기(2018년)에도 관세(25%)를 직접 부과했던 대표 품목입니다.
2025년 6월, 철강/알루미늄 제품 관세를 25% → 50%로 인상 부과한 전례까지 있는 만큼, 이번 서한의 25%는 시작점일 뿐이라는 경고로 받아들여집니다.
포스코/현대제철은 미국향 열연강판, 강관, 특수강 수출이 비중 있는 품목군으로 품목별 관세와 별도로 부과되는 '상호관세'는 이중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 반도체 산업 : '관세 면제' 대상이지만 방심은 금물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는 트럼프 관세 서한에 명시적 언급이 없었으나, 비관세 장벽 또는 투자 압박이 예고될 수 있습니다.
특히 백악관 서한에는 이렇게 명시되어 있습니다.
"미국 내 생산시설을 이전하거나 신설하면 관세를 면제하겠다"
현재 삼성 오스틴 공장, SK하이닉스 LPE fab 투자는 유예 대상이나 신규 수출 제품, 설비 부품, 전자소재 등은 예외가 될 수 없습니다.
📌 산업별 피해, 단순 수출액보다 '구조'가 핵심
산업 | 주요 기업 | 주요 타격 경로 |
자동차 | 현대차, 기아 | 수출 모델 관세 인상, 미국 현지생산 압박 |
부품 | 현대모비스, 만도 | 1차 벤더 타격, 납품 단가 하락 |
조선 | 현대중공업, 대우조선 | 고부가 수주 축소, 해양플랜트 부품 관세 |
철강 | 포스코, 현대제철 | 제품 이중과세 우려, 가격경쟁력 저하 |
반도체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 부품/소재 관세 가능성, 비관세 압박 증가 |
✅ 결론 : 트럼프의 관세는 '산업 재편 압박'이다
이번 25% 관세 서한은 단순한 수출 규제라기보다는 "미국 중심 제조망으로 이동하라"는 구조적 메시지에 가깝습니다.
이재명 정부는 단순 대응이 아닌, 각 산업별로 대미 수출 구조 점검, 현지 투자 계획 조율, WTO 및 FTA 협정 기반 산업별 협상 테이블 개설 등 정밀한 대응 체계가 필요합니다.
📌 [트럼프 관세 시리즈]
2025.07.08 - [오늘의 주제] - 📜 트럼프, 이재명에 25% 관세 경고장! GPT가 해석한 백악관 서한의 속뜻은?
2025.07.08 - [오늘의 주제] - 💣 왜 지금 관세인가? 트럼프의 '상호주의' 무역전략과 한미 FTA 충돌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