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제

📉 한국 기업 주가·환율 직격탄! 관세폭탄의 시장 영향 정리

탐험가 단_2 2025. 7. 8. 11:51
반응형
반응형

📌 [트럼프 관세 시리즈 ③편]

2025년 7월 7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한국산 전 제품에 25% 관세 부과를 예고한 백악관 서한을 공개하자, 뉴욕증시는 물론 원화 환율과 한국 기업 주가에 즉각적인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트럼프의 서한이 단순한 정치적 신호를 넘어, 실제 글로벌 투자심리와 금융시장 변동성에 얼마나 민감하게 작용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였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트럼프의 관세 폭탄이 실시간으로 한국 금융시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향후 주의해야 할 변수들을 짚어봅니다.

📉 뉴욕 증시 반응 : 한 · 일 기업 주가 일제 하락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율을 명시한 서한은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 14개국에 발송한 7월 7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일제히 하락 마감했습니다.

지수명 종가 전일 대비 변화
다우존스 44,406.36 -422.17(-0.94%)
S&P 500 6,229.98 -49.37(-0.79%)
나스닥 20,412.52 -188.59(-0.92%)

이 중 한국과 일본 기업의 미국 상장 주식(ADR)은 특히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SK텔레콤 ADR : -7.8%

LG디스플레이 ADR : -8.3%

도요타 ADR : -4.02%

혼다 ADR : -3.86%

이는 트럼프의 서한에 따라 한국과 일본이 동시에 '25% 관세 대상'으로 명시되었고, 자동차 · 전자제품 등 수출 주력 산업이 직접적 타격 대상이라는 우려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 환율도 요동... 원-달러 1370원대 후반 돌파

관세 이슈는 원화 가치에도 즉각적인 약세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7월 8일 기준, 원/달러 환율은 1,378원대까지 상승하며 연중 최고 수준에 근접했습니다. 민경원 우리은행 선임연구원은 "무역 긴장 고조에 따른 달러 강세와 역내 달러 실수요가 맞물리며 원화 약세가 나타나고 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수입업체의 적극적인 달러 매수세가 환율 상승을 더욱 자극하고 있으며, 수출업체들의 네고 물량이 아직 본격화되지 않아 환율이 단기간 추가 상승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ETF · 코리아펀드도 타격

한국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도 즉각 영향을 받았습니다.

iShares MSCI Korea (EWY) : -3.62%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의 수출 의존도를 우려하여 한국 전체 시장에서 빠져나가는 흐름을 보인 결과입니다.

🛡️정부의 대응 : 컨틴전시 플랜 가동

기획재정부는 7월 8일 긴급 시장점검회의를 열고, 관세 관련 금융시장 영향 분석에 착수했습니다. 이형일 재정부 차관 대행은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커질 경우,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즉각적이고 과감하게 조치할 것" 이라며 컨틴전시 플랜 가동을 예고했습니다.

정부는

외환시장 안정조치

수출기업 대상 환율 커버지 지원

투자자 불안 완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강화

등을 단계별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 향후 주목할 포인트

1. 8월 1일 관세 발효 전 협상 전개 상황

2. 트럼프 측 "전화하면 바꿀 수도" 발언 → 재협상 여지 존재

3. 외교적 해법에 따른 주가 반등 또는 추가 하락 가능성

4. 자동차 · 반도체 중심의 산업별 주가 방향성

✅ 정리 : 관세는 곧 투자심리다

트럼프의 관세 서한은 백악관에서 보낸 단 한장의 문서였지만, 글로벌 금융시장을 하루 만에 출렁이게 만든 파급력 있는 정치, 경제 이슈였습니다.

앞으로 남은 3주, 한국 정부의 외교적 설득력과 산업 대응 역량이 금융시장의 복원력에도 직결될 것입니다.

📌 [트럼프 관세 시리즈]

2025.07.08 - [오늘의 주제] - 📜 트럼프, 이재명에 25% 관세 경고장! GPT가 해석한 백악관 서한의 속뜻은?

2025.07.08 - [오늘의 주제] - 💣 왜 지금 관세인가? 트럼프의 '상호주의' 무역전략과 한미 FTA 충돌 분석

반응형